철학/사주

1-2-2. 文王時代

일절파파 2009. 10. 20. 18:18

2聖人

일부는 '정역'에서, "周德在□ 二南七月 麟兮我聖乾坤中立 上律下襲 襲于今日"(주나라 덕이 2남과 7월에 있어 기린스러운 우리 성인 건곤속에 중립하사 위로 천시를 본받고 아래로 수토 물려받아 오늘날 내리셨네)라고 2성인의 공덕을 천양한다.

 

☆ 象數

夫子

일부는 '정역'에서, "洞觀天地無形之景 一夫能之 方達天地有形之理 夫子先之 嗚呼聖哉夫子之聖乎"(천지무형의 경개를 훤히 내다보기는 일부가 능히하고 처지유형의 이치를 똑바로 사뭇기는 부자께서 먼저 하셨네. 아아 성스럽다. 부자의 성인이심이여)라고 부자를 찬양한다.

 

易興

공자는 '주역 계사하전 제11장'에서, "易之興也 其當殷之末世周之盛德邪 當文王與紂之事邪 是故其辭危 危者使平 易者使傾 其道甚大 百物不廢 懼以終始 其要无咎 此之謂易之道也"(역의 흥함이 은나라의 말세와 주나라의 덕이 성할 때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그 말이 위태하니 위태함을 平하게 하였다. 역을 경사지게 하니, 그 도가 심히 커져 백가지 물건을 폐하지 않았다. 두려움으로 終始하면 그 중요한 것은 허물이 없으니 이것을 역의 도라 이른다)라고 역이 흥할 때를 설명한다.

 

復興

주자는 '주역본의 계사하전 제7장'에서, "夏商之末 易道中微 文王拘於유里 而繫彖辭 易道復興"(하,상나라 말기에 역도의 중이 쇠미해 지더니 문왕이 유리옥에 구속되어 계사,단사를 붙이니, 역도가 다시 흥해졌다)라고 역도의 부흥을 설명한다.

 

역도학파

한동석은 '우주변화의 원리'에서, "복희씨의 상수발견이 이미 50세기 전에 벌써 만고불변의 진리로서 이 세상에 대두하게 되자 이것이 문왕 주공 공자를 거쳐서 역학대계를 이루었고 다른 쪽으로는 복희, 기자, 노자, 공손룡자 등을 거쳐서 음양5행의 변화원리를 형성하여 놓았던 것이다. 저간에 있어서 노자의 자연관이 수출한 후 열자, 장자등의 우화형식을 취하면서 자연원리를 해명함으로써 실로 위대한 공적을 남겨 놓았던 것은 다시 말할 필요도 없는 것이다."라고 역도의 학파를 설명합니다.

 

상수학계보

한동석은 '우주변화의 원리'에서, "태시천원책문에 천체에서 5운이 변화하는 상을 수상했고 그후에 하도와 낙서로써 5행원리와 그의 운동법칙을 게시한 것은 분명히 조물주가 인간에게 우주원리를 개발하라는 암시거나 또한 명령이리고 생각하여야 할 것이다. 어시에 복희가 8괘를 그려서 상을 표시하는 기본을 만들었고 황제가 갑자성두의 원리를 밝혔고 문왕 주공이 作辭解明함으로써 역이 완성하게 되었으니 이것은 바로 변화의 象과 數가 완성한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공부자의 탄생을써 역에 10익을 가하게 된 것은 역의 상수원리를 보편화하려는 대성의 遺志로서 또는 萬歲之師로서 지구 위에 군림한게 되었던 것이다. 여기에서 공부자가 우주의 본체가 태극이라는 것을 밝혀 놓았고 그후 周子가 무극설을 제창했고 김일부가 3극원리를 밝혀놓음으로써 우주의 본체와 그의 운동하는 象이 일목요연하게 밝혀졌던 것이다."라고 상수학의 계보를 설명합니다.

 

상수역

김상섭은 '역학계몽 주해'에서, "漢代의 역학은 정치적 보호 아래 상수역을 위주로 발전하였다. 맹희, 경방, 정현, 우번 등의 한 대 역학가들은 卦氣, 納甲, 爻辰, 旁通, 昇降, 互體, 半象, 飛伏, 卦變 등을 중시하여, 모두 陰陽災異와 상수로 역을 해석하였다. 상수역이란 괘효상을 天文, 地理, 律曆, 五行, 蓍龜, 雜占, 形法 등의 술수와 배합하여 한 대에 발전한 역의 한 학파를 말한다. 그 대표적인 인물로는 맹희, 초연수, 경방, 정연, 순상, 우번등이 있다. 이들은 역의 팔괘의 원리를 음양오행, 일월성진, 사계절의 변화와 결합, 卦氣, 納甲, 飛伏, 世應, 爻辰, 昇降, 半象, 互體, 旁通, 卦變 등을 만들어, 한 대 상수역의 독특한 형식을 구성하게 된다."라고 상수역을 설명합니다.

 

☆ 義理

六十年

일부는 '정역'에서, "六十年 率性之工 秉義理大著春秋事者 上敎也(60년 솔성한 공에 의리를 잡아 크게 춘추에 나타날 일은 위에서 가르치심이다)라고 上敎로 의리가 변화한다.

 

義理

주자는 '역학계몽'에서, "其傳於文義者 旣支離散漫 而無所根著 其涉於象數者 又皆牽合傳會 而或以爲出於聖人心思智慮之所爲也 若是者 □病焉"(그 뜻에 집착한 사람은 거의 지리산만하여 뿌리 내린 바가 없고 상수를 섭렵한 사람은 자기에게 좋도록 억지로 갖다 붙여서 혹은 성인의 마음과 지혜로 생각하여 그렇게 나왔다고 여겼다. 이와같은 견해를 가진 사람을 나는 크게 잘못되었다고 생각한다)라고 의리역을 설명한다.

 

의리역

김상섭은 '역학계몽 주해'에서, "魏의 왕필이 일어나 한 대 상수역을 배척하고, 도가철학으로 역을 해석한 것이 의리역이다. 왕필의 의리역은 중국 역학에 새로운 국면을 전개, 송초에 이르기가지 중국의 역학계를 지배한다."라고 의리역을 설명합니다.

 

☆ 圖書

 兩派六宗

사고전서총목제요, "易之爲書 推天道以明人事者也 左傳所記占 蓋猶太卜之遺法 漢儒言象數 去古未遠也 一變而爲京焦 入於 祥 再變而爲陳邵 務窮造化 易遂不切於民用 王弼盡黜象數 設以老莊 一變而爲胡瑗程子始闡儒理 再變而李光楊萬里 易遂日啓 其論端 此兩派六宗 已互相攻駁"(역이란 책은 자연의 천도를 가지고 인간의 모든 인사를 밝힌 것이다. 좌전에 기록되어 있는 여러 점들은 태복이 남긴 법과 같다. 한의 유학자들은 상수를 말하였는데 주역 본래의 내용과 먼 것이 아니다. 한번 변하여 경방과 초연수가 기상역으로 들어갔고, 다시 변하여 진단과 소옹이 조화를 밝히는 데 주력하였다. 왕필은 상수를 물리치고 노자와 장자로써 역을 말하였는데, 한번 변하여 호원과 정이가 비로소 유학의 원리를 밝혔다. 다시 변하여 이광과 양만리가 역사적 사실을 고찰하여 역을 중명하였다. 역은 마침내 이론의 실마리를 열어 이 두 학파와 여섯분파가 서로 공백하기에 이르렀다)라고 주역이 兩派 六宗되어졌다고 설명한다.

 

도가역

김상섭은 '역학계몽 주해'에서, "의리역 가운데 도가역이란 노자와 장자의 관점으로 역의 경문을 해석한 학파로서 왕필, 한강백, 공영달등이 이 학파에 속한다."라고 도가역을 설명한다.

 

도서역

김상섭은 '역학계몽 주해'에서, "중국의 역학은 宋代에 이르러 다시 크게 변화한다. 진단이 창시한 도서역은 유목, 소옹, 등에 의해 하도, 낙서와 선천도, 후천도가 정립되어 주희에게 수용되고, 호원이 건립한 유가역은 정이에게 계승되어 리학파 역학으로 터를 닦아 주희에게 흡수된다. 도서역이란 명칭은 청대의 학자들이 붙였다. 四庫全書總目提要에서 漢代의 유학자들은 역을 말하면서 상수를 주로 하였다. 송대에 이르러 상수 가운데서 다시 도서 일파가 갈라져 나왔다고 한 것을 보면 도서역은 상수역의 지파

이며, 한 대 상수역의 송역적 발전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 학파는 각종 그림을 그려 역을 해석, 송대의 특수한 역학체계를 수립하였다."라고 도서역을 설명합니다.

 

유가역

김상섭은 '역학계몽 주해'에서, "유가역리란 공자와 맹자의 관점을 가지고 역의 경문을 해석한 학파로서 호원, 정이 등이 이 학파에 속한다. 이들은 유학의 원리를 가지고 역의 원리를 밝혔다."라고 유가역을 서명한다.

 

사사역

김상섭은 '역학계몽 주해'에서, "사사역이란 역사적 사실을 가지고 주역의 경문을 증명한 학파로서 이광 양만리 등이 이 학파에 속한다. 역사적 고사들을 많이 인용하고 있으므로 사사역의 원류는 긴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송대에 이르러 이 학파가 형성되었다."라고 사사역을 설명합니다.

 

주희

김상섭은 '역학계몽 주해'에서, "의리역과 상수역은 남송의 주희에 의해 결합되고, 주희는 이 두계통의 역학을 모두 수용하여 방대한 역학체계를 수립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주희의 역학은 두 계통으로 나누어 말해야 한다. 하나는 理로써 역을 해석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역으로 역을 해석한 것이다. 앞의 것이 송대 의리역의 맥을 이은 것이라면, 뒤의 것은 송대 도서역와 한 대 상수역의 이론을 이은 것이다."라고 주자의 학문적 의의를 성명합니다.

 

역학계몽

김상섭은 '역학계몽 주해'에서, "주희의 역학계몽은 송대 도서역의 총결서이다. 이 책은 하도와 낙서, 선천도와 후천도, 주역의 점법, 변하는 효에 의한 점풀이글의 선택과 이에 따른 괘변도를 그 내용으로 한다. 주희가 역학계몽이라는 책을 써 냄으로 해서 송대의 도서역은 주희라는 큰 학자의 이름 아래 비호되어 세상에 크게 유행하고 더욱 발전하여 오늘날에 이르게 된 것이다."라고 역학계몽을 설명합니다.

[출처] 1-2-2. 文王時代 |작성자 구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