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납음오행은 중국의 전국시대에 경세의 모사인 귀곡자란 분이 만든 것으로 명리학

의 대종이라 하겠다.

그리고 납음의 象은  동방의 만정자 세칭 동박삭(東方朔)이란 분이 작성하였으므로

화갑이라고 이름을 한것이다.

육십갑자를 살펴보면 육십갑자는 자수에서부터 해수에 이르기까지 십이지가 전부

오행에 소속되어 있는데 이를 인간 세상에 배속시키니 금목수화토라  하늘에는

오성이요 땅에는 오악이요 사람의 덕에는 오상이 되니  仁,義,禮,智,信 이며

인제에는 오장이 되니  우주 삼라만상이 오행에 배속되지 않는 것이 없다.

 

납음은 본래에는 육십갑자의 음을 배대하여 얻은 오행이나 그 서차와 원리를 보면

우주 대자연의 전개 과정을 설명한 것이라 하겠다.

리우가에 말씀하시기를  오행진가소인지니 지시수설천기가 견야라.

                                 속이갑자해중금이  누경지전이나

                                 미지금재해중지론 이로다.라고 하였는데

이 말은 오행의 진가를 아는 사람이 적은바  천시(天時)를 아는 것이 그것이요

또한 천기를 아는것이 그것이다라는 뜻으로 흔히들 갑자 을축 해중금이라고 하지만

어떤 원리에서 해중금이라고 하였는지는 연유를 알지 못한다.

(여기에서 진가란 납음오행을 두고 한말임)

구성은 수리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수리에도  선천수와 후천수가 있는데

납음오행은 선천수로  구성이 되어 있어 이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가 선천수

갑기, 자오  9

을경, 축미 8

병신, 인신 7

정임,묘유 6

무계,진술 5

사해 4

 

나 후천수

임자  1

정사  2

갑인  3

신유  4

무진술  5

계해  6

병오  7

을묘  8

경신  9

축미  10

기(己) 白

이를 논하여 보면 일수는 천지의 기본수요 또한 만물이 생성하는 시작의 수이다.

또 십수는 천지수의 만수요 노음에 수가 되며 九수는 기수로서 야우의 만수이니

즉 노양이 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유로 갑목은 기토와 합하고 자수는 오화로 충하여 오므로 갑기 자오

는 동체가 되어 선천 구수가 되고 있는 것이다.

지지의 자수가 오화를 충합하여 오는 이유는  자수에거 일양이 시작하여

오화에서 양이 극하는 동시에 일음이 시생하는바 양의 시생하는 초기와 또한

극왕한 것을 취하였기 때문이다.

을축은 양의 만수인 임신까지가 팔위에 해당하고  있음에 을목은 경금과 합

하여 오고  축토는 극대인 미토를 충합하여 오므로  을경축미는 8이 되는 것이다.

병신 인신은 병인에서 임신까지가 칠수에 해당하고 있어  병은 신으로 합거하고

인은 신을 충하여 오므로 병신 인신은 7이 된다.

정임 묘유는 정묘에서 임신 까지가 육수이며 임과 합하고 묘는 유를 충거 하여

오므로 정임묘유는 6이 된다.

무계 진술은  무진에서 임신까지가  오 수이며 무는 계와 상합하고 진은 술과

충거하여 오므로 무계 진술은 5가 된다.

사해는 기사에서 임신까지가 4수이니  사가 해를 충거하여 오므로 4가 되고

있는 것이다.

이를 다시 살펴보면 선천수는 천간은 합이되고 지지는 충이 되어서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에서 1,2,3 수가 빠지고 있는데  그 연유인즉 1은 천의 절대수요

2는 지의 반대수가 되며  3은人인으로 상대수가 되어 수의 기본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후천수는 양의 양수 음은 음수로 각각 배속되어 있고 다만 기토만 혼자서 백으로

작용하고 있다. 백(白)

수리를 다시 철학적인 개념으로 본다면 시작도 끝도 없겠으나 좀더 논하여 본다면

水는 1에서 생하여6에서 성하고

火는 2에서 생하여 7에서 성하고

木은 3에서 생하여 8에서 성하고

金은 4에서 생하여 9에서 성하고

土는 5에서 생하여 10에서 성하고 있는 것이다.

 

수의 서차를 살펴보면

천일지이인삼의 기본수가 있고 1과3이 합하여4가되고

2와 삼이 합하여5가 되며 또 1,2,3이 합하여 육이 되어 성이되고

1과5가 합하여 6이되고 5와2가 합하여 7이되고

5와3이 합하여 8이 되고 5에 4를 합하여 9가 되고 5에 5를 합하여 10이 되니

1에서부터 10까지의 수를 서차가 정립된다.

8은2와6,3,5요,4와 4,7과1의 합수이며

7은1,6 2와5요 3고4의 합수가 되고 있는 것이다.

이를 다시 논하여 보면 1*1=1로서 일氣요 2*2=4이니 사상이 되고

3*3=9이니 구궁이요 4*4=16 십육방이요

5*5=25이니 이십오행이요  6*6=36이니 천간동수요

7*7=49이니  천지도수요 8*8=64이니 육십사괴가 되고

9*9=81로 성명학의 수리로서 수의 끝이 되고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연유로 선천수가 정립된 것이을 잘 알았으리라 믿는다.

 

납음오행의 구성원리

갑자을축하면 선천수로는 갑은 9요 자도 9 이다.

을은 8이요  축도 8로서 이를 합하면34가 되며  이 34를  천지도수인  사십구수

(천지도수란 육십갑자 구성되는데 천간이 6번 움직이게 되므로 6*6=36 이 되고

여기에다 지지12을 합하면 48이 되고  또 여기에다 수의 기본인 태극수1을 합하면

사십구수가 되니 이 수를 천지도수라고함)

에서 제하면 15가 남게된다.

남는수 15를 5로 제하면 모두가 나누어지므로 5를 기준하게 된다.

즉 오는 오행상으로 토요 토는 토생금하게 되니  갑자 을축은 금이되는 것이다.

병인 정묘는 선천수가 병은 7이요 인은7이요 정은 6이요 묘도 6이니 이를 합하면

이십육수가 되는 데  천지도수인 대연수 49에서 26를 제하면  이십삼수가 남게

되는데 다시 이십삼수를 5로 제하면 3이 남으니 3은 오행상 목이요 목은 목생화를

하게 되니 병인,졍묘는 화가 되는 것이다.

이 납음 오행은 일반적으로 소위 궁합을 보는데 많이 사용하여 왔는데

 여기에서 소개하고자 하는것은  일반적으로사용하여 왔던  궁합에 대한

이설을 논하고자 하는 것이다.

사주학에서는 최종적인 부분에서 중요하게 응용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궁합을 볼때  생년의 간지만을 가지고 납음 오행으로 보기 때문에  이를

일컬어 소위 겉궁합 이라고도 한다.

그런데 년지만을 가지고 궁합을 맞추어 보고서 그 궁합을 잘 맞추었다고

한다면  매우 안타까운 일이다.

생년과 생년만을 가지고 궁합을 본다는 것은 그 사람의 사주 팔자 가운데서

십분지이만을 가지고 논하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부실하기 짝이 없는 것이다.

응용을 할경우에는  납음 오행의 성질을  완전하게 파악하여서 해야 한다.

이를 사주학에서 잘 응용하면 추명을 하는데 있어  정확함을 얻을수 있으니

수학자들은 열심히 하시기를 바랍니다.

납음오행 구성

갑자 을축 해중금

병인 정묘 노중화

무진 기사 대림목

경오 신미 노방토

임신 계유 검봉금

갑술 을해 산두화

병자 정축 윤하수

무인 기묘 성두토

경진 신사 백납금

임오 계미 양류목

갑신 을유 정천수

병술 정해 옥상토

무자 기축 벽력화

경인 신묘 송백목

임진 계사 장류수

갑오 을미 사중금

병신 정유 산하화

무술 기해 평지목

경자 신축 벽상토

임인 계묘 금박금

갑진 을사 복등화

병오 정미 천하수

무신 기유 대역토

경술 신해 차천금

임자 계축 상자목

갑인 을묘 대계수

병진 정사 사중토

무오 기미 천상화

경신 신유 석류목

임술 계해 대해수

 

납음오행 해석

갑자,을축 해중금

해중금이라고 하는 것은 자는 수에 속하고 또 수가 왕항 계절이요 호수가 되고 있는데

금은 자수에서 십이 운성으로 사가 되며 축토는 묘가 되어 금이 사장되므로 금이

바닷속에 가라앉아 있는 형상과 같다 하여 해중금이라고 하는 것이다.

 

병인 정묘 노중화

노중화란 인목과 묘목은 바야흐로천지가 개벽되는춘절로서 목기가 왕성하여 병정화

를 목생화로서 왕성하게 하여 주니 천지가 따뜻해지는 봄철에양기를 도와 만물이

생하여 지는 때이니 노중화라고 하는 것이다.

 

무진 기사 대림목

대림목이라고 하는것은 진토는 평야와 같고 사화는 육양에 속하여 나무가 육양에

이르러서 무성해지며 쪼 평야에 있는 많은 나무중에서도 큰 나무가 되어

대림목이라하는 것이다.

 

경오 신미 노방토

노방토라 하는 것은 미토 중에 있는 목아오 중에 있는 화를 생하고 또 목으로 부터

생을 박은 왕한화 는 다시 미토를 생하여 줌으로 써 왕으로 한토가 되어 노방토 라고

하는 것이다.

 

임신 계유 검봉금

검봉금이란 금은 신유를 만남으로써 제왕이 더욱 왕성하여 생함을 받기 때문에

금이 지극히 강하여 칼끝과 같다 하여 검봉금이라고 하였다.

 

갑술 을해 산두화

산두화란 술토와 해수는 서방으로 천문이 되고 있는데 날이 저물어 석양의

여광만이 빛날 뿐이므로 산머리에 걸린 해와 같다하여 산두화라 한다.

 

병자 정축 윤화수

윤화수라고 하는 것은 수는 자에서 왕하나 축토에서는 쇠약해지기 때문에 윤하수

라고 하는 것이다.

 

무인 기묘 성두토

성두토 라고 하는 것은 무토와 기토는 천간에 있고인목과 묘목은 간산에속하니

토가 쌓이면 산이되기 때문에 성두토라고 한다.

 

경진 신사 백납금

백납금 이라고 하는 것은 금은 진토에서 자양지금이 되고 사하에서는 장생이 되나

그형질이 생긴지가 얼마되지 않아 견고하지 못하므로 주석과 납과의 합금이

되므로 백납금이라고 하였다.

 

임오 계미 양류목

양류목이라고 하는 것은 목은 오화에서 사하고 미토에서는 묘가 되므로 목기가

사장되어 양류목이 된다 이를 잘못생각하면 천간에 임수와 계수가 있어 수생목을

받아 왕한나무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유목에 불과함름 알아야 할 것이다.

 

갑신 을유 종천수

정천수라고 하는 것은 금은 신유에서 관왕이 되어 생왕함을 얻고 있으나

아직 수가 생출되려는 계절일 뿐 수기가 왕성하지 를 못함으로 정천수가 되는 것이다.

 

병술 정해 옥상토

옥상토는 병정이 화에 속하는 데 술토와 해수가 천문이 되어 화기가 염상하고있기

때문에 아래에서 생하는 것이 아니므로 옥상토라고 하였다.

 

무자 기축 벽력화

벽력화라고 하는 것은 축토 는 토에 속하고 수 중의 화는 전광과 같으므로 벽력화라한다

 

경인 신묘  송백목

송백목이라고 하는 것은 목은 인묘목에서 관왕이 되어 생왕 하므로 유약한 나무라고

할수없으니 송백목이 된다.

 

임진 계사 장류수

장류수라고 하는 것은 진토는 수의 고장이요 사화는 금의 장생지가 되어

금은 생수하는 것이니 수가 왕성하여 수의 원천이 마를 염려가 없으므로

장류수라고 하는 것이다

 

갑오 을미 사중금

사중금이란 오화는 화의 왕지요미토는 화의 쇠이나 금은 오화 에서 패지 가 되고

미토는 금의 재관이 되어 금이 나무를 작벌할수 있는 힘이 없기 때문에 모래밭의금이

되어 사중금이라고 할수있다

 

병신 정유 산하화

산하화란 신금은 지의 문호가 되고 유금은 일입의 문이 되어 이때는 해가 빛을 감추게

되니 산아래 불이라 하여 산하화가 되는 것이다.

 

무술 기해 평지목

평지목이란 술토는 원야 이고 해수는 목의 장생지인 고로 나무는 평야에서

생성된다. 하여 한그루의 나무가 아니라 많은 나무가 있는 것을 뜻해 평지목이라 한다.

 

경자 신축 벽상토

벽상토란 축토는 토위에 있고 자수는 수왕지가 되어 흙이 물을 만난것과

같으니 벽상의 흙과 같아서 벽상토라 한다.

 

임인 계묘 금박금

금박금이란 인묘목은 목의 관왕지요 금의 절지로서 금이 쇠약하고 힘이 없어

무력하기 때문에 금을 앏게 펴서 만든 금박과 같다 하여 금박금이다.

 

갑진을사 복등화

복등화 한 진토는 아침이요 사화는 낮이되기 직전이니 빛이 천하를 하광하는

상이라 복등화가 된다.

 

병오 정미 천화수

천하수하고 하는 것은 병정화와 오미화가 화왕지에 속하나 납음 으로는 수가 되니

즉 수가 화로부터 출생된격이라 이는 은하가 아니면 구할수 없기 대문에 은하수라

한다.

 

무신 기유 대역토

대역토란 신금은 곤괘요 유금은태괘로서 곤토와 태택위에 무기토가 있어

대역토가 된다.

 

경술 신해 차천금

차천금이란 금은 술토에서 쇠약하고 해수에서 병이 되니 금이 쇠약해지고 병이들어

유약하게 되므로 차천금이라 한다.

 

임자 계축 상자목

상자목이란 자수는 수에 속하고 축토는 금에 해당하니 나무가 수에 생하고 있는데

금이 와서 나무를 베는 상과 같음이라 상자목이 되는 것이다.상자목이란

산뽕나무를 말한다.

 

갑인 을묘 대계수

대계수란 인묘목은 동방이 요 또한 동방의 기운이 왕성하고 물도 동방에서 흘러

막힘이 없이 순하게 모여서 큰물을 이루니 대계수라한다.

 

병진 정사 사중토

사중토란 병정화가 진사에서 관왕이 되느 화는 왕하고 토는 쇠약하므로 사중토가

되는 것이다

 

경신 신유 석류목

석류목이라고 하는 것은 신금과 유금 은 가을로서 나무가 피상되는 계절이라 이때는

석류의 과실만이 비로소 성실하므로 석류목이라고 하는 것이다.

 

임술 계해 대해수

대해수란 수는 술해에서 관왕이 되니 수기가 태왕하여 대해수가 되는것이다

 

이상으로 납음 오행에 대하여 알아 보았는데 항간에서는 납음 오행을 무시하는

학자도 있다. 그러나 이는 잘못된 판단이라고 생각한다.

납음으로 일주의 성정만을 대조할것이 아니라 사주 전체에 다 응용하여 추명하는

것이 마땅하다 만약 원명사주에  부족한 오행이 있을경우 납음 오행상으로 그부족한

오행을 도와주게 된다면 그만큼 원명은 길명이 될수 있는 것이니 함부로 버리지 말고

소중히 여겨 많은 뜻을 통달한다면 만무일실 하리라.

Posted by 일절파파